c로 스택 구현
·
SW/C, C++
지인이 나중에 자료구조 배우면 스택, 큐 기타 등등 아무튼 미리 한번 해보라고 스택 작동방식? 을 조금 알려주셨습니다. 그리고 c로 저보고 구현해보라고 하셔서 해봤습니다. 하는데 대충 1시간 40분 정도 걸렸던 거 같습니다. 그리고 제가 아직 포인터를 잘 못 다뤄서 구조체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식은 나중에 더 배우고 해 보겠습니다. #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#include int stack[5]; int top = 0; // 현 index 위치. (쌓은 높이) int Check_Empty() //스택 공백일때 오류검출 { if (top == 0) //에러 나면 { printf("\n\nStack Empty\n\n"); //에러 문구 출력 return 0; } else //..
매개변수로 표현한 함수의 이계도함수.
·
1&2학년/1학년(2021)
미적분학에서 매개변수를 공부하다 보면은 매개변수의 이계도함수가 다음과 같이 표현돼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여기서 왜 이계도함수 식이 저렇게 되는지는 모르겠어서 알아보았습니다. 밑에 예제문제를 풀면서 설명하겠습니다. 다음과 같은 문제를 풀 때 위에 있는 공식을 이용하여 풀면 다음과 같이 값이 나오게 됩니다. 여기서 d^2y / (dx)^2 즉, 식 y를 x에 대하여 미분을 두 번 했더니 t에 대한 식이 나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위쪽을 보시면 dy/dx도 t에 대한 식으로 표현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그래서 t으로 표현된 식을 x에 대하여 미분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t로 미분을 해주려는 과정 속에서 이 공식이 나온 겁니다. 이 원리를 알면은 꼭 저 공식을 안 쓰고도 매개변수의 이계도함수를 구..